본문 바로가기
초보를 위하여

직장 동료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눈치 안 보이는 축의금

by stunning titan 2025. 2. 26.
728x90
반응형

3월은 결혼식 소식의 시작이죠. 3월의 신부, 4월의 신부, 5월의 신부까지 직장 동료들의 결혼 소식이 겹겹이 들려오는 시즌이에요. 마음 가득 축하하면서도 축의금을 얼마나 전해야할지, 어떤 센스있는 멘트를 해야할지 고민이 뒤따르는데요. 결혼 당사자들은 식 잡고 드레스 정하고 신행지 고르느라 고민이고, 초대받은 사람들 역시 고민의 몫이 있기 마련이죠.

축의금 얼마 낼 거예요?

친한 사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너무 적게 내면 민망할 것 같고… 애매한 상황입니다. 축의금은 액수를 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더 고민되는데요. 고민을 덜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직장 동료 결혼식 축의금을 정할 때 눈치 보이지 않는 적정 금액 알려드릴게요.

직장 동료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직장 동료 축의금은 5만 원이 가장 무난한 것 같습니다. 식대가 비싸졌다 하지만 날 좋은 주말에 내 시간을 들여서 가는 노력도 들어간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비싼 식장이 아니라 무난한 식장이라면 적당한 직장 동료 사이에는 축의금 5만원도 괜찮다고 여겨집니다.

사이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는데요.

- 0원 또는 3만 원:
평소 대화 거의 없는 동료, 부서도 다르고 친분이 없는 경우. 돈을 안내거나 3만원정도로 예의를 표시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특히나 사회초년생일 때는 타 부서 분들 결혼식에는 축의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 5만 원:
같은 팀에서 함께 일하는 동료, 가끔 밥 먹고 얘기도 나누는 사이. 식대가 적당한 식장에서 결혼하는 동료라면 5만원을 내도 괜찮을 것 같아요. 축하의 의미를 담은 거니까요.
- 10만 원:
친한 동료, 개인적인 연락도 주고받는 사이. 청첩장 모임에서 근사한 저녁을 먹은 경우거나(그렇다면 이미 꽤 친한 사이겠죠?) 감사할 일이 있었다거나 사적으로 밥도 먹는다면 10만원 그 이상을 내도 괜찮을 것 같아요.

5만 원은 직장 내 예의도 지키면서 부담스럽지 않은 금액이기 때문에 많이 선택됩니다. 주위 기혼자 분들 의견을 들어보면 축의금 5만원 내면 손절 이런 소문은 정말 그야말로 넷사세입니다.

내가 결혼할 때 돌려받을 수 있을까?


솔직히 축의금 낼 때 한 번쯤은 생각하죠.
“나중에 내가 결혼하면 저 사람도 똑같이 줄까?”

보통 같은 직장에서 계속 근무한다면 비슷한 금액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미 퇴사하거나 관계가 소원해지면 받지 못할 수도 있어요.

결혼 계획이 아직 없거나 먼 미래라면, 너무 손익 계산하지 말고 내가 부담 없이 낼 수 있는 금액을 선택하는 게 좋아요.

만약 친한 동료가 결혼하는데 돈이 부담된다면?

축의금을 3만 원 정도로 하고 따뜻한 축하 메시지를 남겨도 충분합니다. 정말 지갑이 쪼들리는데 어떡할까요. 대신에 정말 쪼들리는 상황이어야 합니다.. 새 옷 살 거 다 사고 결혼식장에서 밥도 먹는데 3만원만 낸다? 요즘 식대가 높아서 이러면 서로 민망할 수도 있어요.

혹은 식장에 가지 못한다면 작은 선물(커피 기프티콘, 편지 등)로 대신해도 좋아요.

요즘은 계좌이체도 많이 합니다.
모바일 청첩장이 워낙에 잘 되어있어서 신랑 신부 부모님 계좌까지 공개되어있잖아요. 가야 할 결혼식이 많을 때는 직접 참석하기 어려우니 이체 후 문자로 축하 인사를 보내는 경우도 많아요.

✅ 이체할 때 주의할 점
- 보내는 사람 메모: 이름 + 소속 + 축의금
- 이체 후 카톡으로 “결혼 진심으로 축하해요! 행복하세요 :)” 같이 간단한 인사 남기기

이렇게 하면 상대방도 누가 보냈는지 헷갈리지 않고, 성의 없이 보낸다는 인상을 줄일 걱정도 없어요.

내 상황에 맞게,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축의금은 억지로 많이 내야 하는 게 아니라, 내 상황에 맞게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리하자면,
✔ 직장 동료 축의금은 3~5만 원
✔ 친한 동료는 10만 원 이상도 좋음
✔ 관계가 거의 없으면 3만 원도 괜찮음
✔ 단체 축의금이 있다면 개인적으로 더 낼지 고민해보기
✔ 계좌이체 후 축하/확인 메시지 남기기

결국 중요한 건 진심 어린 축하의 마음이에요.

무조건 액수만 높다고 좋은 건 아니니까,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적당한 금액을 선택하세요!

그리고 함께 세월을 보낼 신랑과 신부에게 가득 축하의 마음을 담아 전합시다. 행복하세요. 축복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