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를 위하여

직생(직접생산확인증명서)이란? 발급받는 법, 디자인서비스 직생

by stunning titan 2025. 2. 13.
728x90
반응형
“직생 있으세요?"  


공공기관 입찰 준비하다보면 들을 수 있는 낯선 용어 중 직접생산확인증명서가 있어요. 그 줄임말이 직생입니다.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용역 포함) 구매할 때 계약 상대자가 그 제품, 용역을 직접 생산하는 것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서류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공공기관과 진행하는 모든 계약에서 직생이 필요한 것은 아니에요. 그렇지만, 중소기업 판로를 지원하기 위한 법률에 따라 진행되는 제한경쟁계약에서 직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자가 직접 생산ㆍ제공하는 제품으로서 판로 확대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제품을 중소기업자간 경쟁 제품(이하 “경쟁제품”이라 한다)으로 지정할 수 있다. 고 명시되어 있어요. 즉,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로 도움을 주고자 하는 공공복리 추구적 목적에서 직생을 요구한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공공기관에서 진행하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용역 포함) 구매에 있어서는, 금액에 무관하게 판로지원법에 의해 직접생산 확인증명서가 필요합니다. 한편, 경쟁입찰이 아니라 1인견적 수의계약하는 경우라도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용역, 물품) 추정가격 1천만 원 이상이라면 직접생산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입찰경쟁 때 직생 보유 여부가 거의 최우선으로 검토되는 사항이고, 직접생산증명서가 있을 때 들어갈 수 있는 입찰이 증가하는만큼 중소기업 경쟁제품 해당한다면 발급받는 게 필요합니다.

직접생산확인증명서 신청과 발급은 공공구매정보망(SMPP)을 통해 이뤄지는데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https://www.smpp.go.kr/cst/smppInf/SelectMpeI2.do
직접생산확인 신청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신청유형에서 일반신청을 선택하고 다음 탭으로 넘어갑니다.

기본정보입력으로 넘어가서는 사업자등록증 내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기업 정보, 신청 공장이 선택되는데요. 이때 기업 정보를 수정 변경하시려면 공공구매종합정보망 홈페이지 내에서 기업정보를 변경해야 합니다.

직접생산확인 신청 관련 담당자 정보도 입력하셔야 합니다.

제품 선택 탭으로 넘어가서, 실태조사대상제품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이때 없다면 제품정보 추가를 누르시면 됩니다. 선택하는 제품에 따른 증빙 서류들을 제출해야 합니다.

아트디자인 서비스 직생


아트디자인과 같은 디자인서비스도 직생이 필요한데요. 아트디자인서비스(디자인서비스)용역의 직접생산은 환경디자인, 제품디자인, 시각디자인 등의 용역 또는 디자인 자문 등을 자체 보유 전문인력과 시설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아트, 디자인의 직접 생산을 어떻게 증명하나 싶지만 컴퓨터, 출력기, 디자인 프로그램 구입 증빙 서류 등과 전문 인력 자격 증빙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네요.

공공에서 진행하는 입찰 계약에 참가하기 위해서 직생 필요하신 분들에게 도움되는 포스팅이었길 바라며 이상 마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